금융 사회 기술 동향

[트렌드] ESG Trend, 왜 왔는가?

Richaesthetic 2021. 10. 6. 22:37
728x90
반응형

0. 언제 부턴가 우리 옆에, ESG


최근 다양한 루트로 ESG 경영에 대해 들어보셨을 겁니다. 스타벅스나 커피점에서 종이 빨대를 제공하며, 일회용 용기사용을 지양하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전력 소모를 줄이기 위해 노력하며, 친환경적인 공법과 폐기물 처리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의류회사는 재활용된 원단을 사용한 옷을 팔며, 노동착취 없는 생산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점점 많은 회사들이 주 52시간 이하 근무를 지켜가려고 합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만든 비닐봉지, 포장지, 빨대 사용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습니다. 전기로 동작하는 전기 자동차가 점점 길거리를 장악하고 있습니다.

ESG는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의 약자로, 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존중하는 기업경영 방식을 나타냅니다. 한마디로 착한 경영 방식입니다. 왜 그럴까요? 갑자기 기업 경영자들이 착해지기라도 한 것일까요? 그렇지 않을 겁니다. 제가 아는 한, 기업경영자는 절대 착하지 않으며, 착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무슨 마법이 걸렸기에 기업들이 발벗고 나서서 ESG 경영에 앞장서고 있을까요?

제 생각에는 최근 사람의 생각이 바뀌고 사회가 바뀌고 시장이 바뀌어 ESG가 돈을 버는 상태가 된 것같습니다.


1. ESG의 효과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에서 내놓은 보고서 중에는 ESG와 기업의 수익성을 확인한 리포트가 있습니다.
https://www.msci.com/www/blog-posts/esg-and-the-cost-of-capital/01726513589

ESG and the cost of capital

We know a lot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anies’ ESG characteristics and financial performance. But was there a correlation between ESG scores and cost of capital?

www.msci.com

ESG score이 높으면 경영비용이 낮아진다. 즉 수익성이 높다. 출처: MSCI web page 

위에서 보다 시피, ESG Score가 높으면 회사 경영에 들어가는 비용이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언뜻 보기에는 기업의 생산성과 상관없을 것 같은 환경, 사회, 지배구조 개선이 수익성에 큰 영향을 주는 것입니다. 리포트에선 ESG 지수가 낮은 기업은 구조적인 리스크 (Systematic Risk)를 줄여주기 때문에 좋은 수익성을 갖게 해준다고 합니다. 말이 되는 것 같습니다.

국가별 ESG score에 따른 수익성.

한편 국가별로 살펴보면, ESG에 따라 기업의 수익성이 높아지는 경향은 유지되나, 양상이 국가별로 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ESG가 갖는 수익성 효과는 시장의 분위기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이 됩니다. ESG를 독려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 ESG가치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최고 경영자의 경영지침, 그리고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시장 구성원들이 ESG를 중요하게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ESG가 근본적으로 자본주의에서의 소득을 보장해준다기보다는 ESG가 잘 팔리는 환경이라서라고 생각합니다. 비가 올 땐 사람들이 비를 피하기 위해 우산이 잘팔리고, 전쟁이 났을 때는 사람들이 이기기위해 무기가 잘팔립니다. 요즘 시대에는 사람들이 요구하는 것은 친환경, 사회 기여, 그리고 올바른 경영구조를 가진 회사가 생산한 제품입니다.


2. ESG를 한마디로?

그런데 왜 환경, 사회, 지배구조가 하나로 묶이게 된 것일까요? ESG가 존중 받지 않을 상황을 하나로 만드는 키워드를 생각해보면, '소외'입니다. 환경이 소외되지 않고 사회의 어두운 부분이 소외되지 않고, 강압적인 지배구조에서 개인이 소외되지 않는 상황을 시장구성원인 우리가 추구하는 것입니다. 좀더 ESG를 묶을 수 있는 잘알려진 단어를 생각해보면 공동체주의라고 생각합니다. 크게 봤을 때 지구라는 환경 공동체, 기업을 벗어나는 사회공동체, 기업공동체를 위하는 공동체주의적 사고방식이 우리에게 스며들고 있습니다. 공동체주의 란 용어에 대해 이견이 있을 수 있지만, 그건 여기서 자세히 논하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다만 소외되지 않다는 마음, 그리고 보다 큰 것에 소속되어 있고 이를 위하는 마음은 개인에게 행복을 준다고 믿고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이런 방향을 추구하는 것 같습니다.

** 다 쓰고 나니까 마지막에 좀 감상적이었던 것 같습니다. 여러분은 저처럼 돈버는 일에 있어서 감상에 빠지지 마시고 냉철하게 부자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