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 사회 기술 동향

[로봇기술] 현대 품에 들어온 보스턴 다이내믹스, 이제 연구는 그만?

Richaesthetic 2021. 9. 8. 06:30
728x90
반응형

0. 현대차의 보스턴 다이나믹스 인수

2020년 12월 현대 그룹의 보스턴 다이내믹스 (Boston Dynamics) 인수가 결정이 되었고, 21년 6월 약 1조원에 80% 지분 인수 (정의선회장 20%, 현대차 30%, 현대모비스 20%, 현대글로비스 10%)가 완료 되었습니다. 보스턴 다이나믹스는 4족 보행 로봇, 휴머노이드 등의 다리 달린 로봇에 있어서 압도적인 기술력을 가지고 있는 회사이죠.

1. 보스턴 다이나믹스, 이래도 되?

근데 오늘 확인한 뉴스가 있었습니다.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재무구조가 현재 매우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이 회사는 현재 자산이 5000억 정도이지만, 지난 1년 당기 영업이익 적자가 연구개발비로 1499억원이라고 합니다. 매출액은 지난 1~6월 227억원에 불과합니다. 연구 개발을 통해서 뛰어난 경쟁력을 갖는 것은 중요하지만, 이런 경향이 지속되면 회사 존립이 1~2년안에 매우 위태해질 것입니다.
물론 현대그룹의 유동자산은 현대차/모비스/글로비스 모두 합쳐서 78조원 정도 되니 현재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손실을 감당할 수 있을 수 있겠습니다. 하지만 장사하는 입장에서 비싼 돈 주고 산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수익구조의 개선이 매우 시급해보입니다.

'현대차 식구된' 보스턴 다이내믹스, 872억 손실 (daum.net)

'현대차 식구된' 보스턴 다이내믹스, 872억 손실

지난 6월 현대차그룹이 최종 인수한 미국 로봇 전문 업체 보스턴 다이내믹스(Boston Dynamics)가 그룹 내에서 첫 성적표를 공개했다. 1992년 대학 내 벤처로 시작한 이후 줄곧 이어지던 적자는 올해도

news.v.daum.net

2. 현대, 로봇 시장에는 왜?

현대차도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적자 상황을 잘 알고 있었을텐데 왜 인수를 진행했을까요?
이에 대한 힌트는 2020년 현대경제연구원 보고서에서 얻을수 있을것 같습니다.

http://www.hri.co.kr/board/reportView.asp?numIdx=30181&firstDepth=1&secondDepth=1&thirdDepth=

물류로봇 시장 동향과 시사점

www.hri.co.kr

위 보고서는 2020년 2월 발행된 '물류로봇 시장 동향과 시사점' 이고, 보스턴다이나믹스 인수 결정 8개월 전에 작성되었습니다.

해당 보고서가 내용이 방대하지만 간단히 요약해보자면,
1. 물류 로봇은 로봇 시장을 선도하는 대규모 시장 잠재력을 지닌 고성장 분야로 평가 (물동량 증대와 인력고령화)
2. 전통 물류 시장의 물류 로봇은 기존 업체가 주도하고 있어 진입장벽이 높은 상황
3. 빌딩 관리, 옥내외 배송 등 새로운 물류 로봇 시장은 신생업체의 진입기회가 크지만 제품 R&D가 필요하고, 시장의 확장 잠재력이 검증되지 않은 상황
4. 경쟁기반확보를 위해 로봇 기능 고도화, 서비스 플랫폼 구축필요

즉, 현대차는 모빌리티 혁신 기업으로서 성장 전망이 매우 큰 물류 로봇 시장으로의 진출을 꿈꾸고 있었습니다. 비전은 화물 측면, 제조 측면, 판매 측면, 서비스 측면 순으로 미래 로드맵을 짜고 있습니다. 소비자에 가까울 수록 로봇은 더욱 인간 친화적인 동작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상호작용, 자가판단, 상황 판단과 같은 것 말이죠. 그래서 Boston Dynamics의 압도적인 기술력이 필요한 것입니다. Boston Dynamics의 로봇 개발의 지향점에 대해선 나중에 더 논의해보도록 하겠습니다.

3. 그렇다면 앞으로 어떻게 할래?

현대차가 바라보는 로봇 기술의 로드맵이 꽤 멀리까지 뻗어있다는 것을 알았지만, 당장 망할 수도 있는 로봇회사를 회생하는게 필요할 것입니다.
아마 예상컨데, 물류로봇의 가장 낮은 레벨의 로봇 (AVG, auto guided vehicle)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영역에서 시장확대가 당장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게 뭐가 있을까요?
저는 택배나 선박에서의 상하차 물류 이동, 폐기물 이동 및 처리 등 사람의 노동력이 필요하지만, 매우 고되서 노동력이 부족한 영역부터 빠르게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사용 유연성 측면에서도 보스턴 다이나믹스의 기술력이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현대 경제연구원에서 2020년 2월 발행된 '물류로봇 시장 동향과 시사점'  

마무리를 짓겠습니다. 저는 10년 전부터 보스턴 다이나믹스를 보면서 로봇의 미래를 상상해왔습니다. 이 기업이 우리나라, 현대그룹과 함께 하게 되어 자랑스럽습니다. 끊임없는 연구 개발이 필요하지만, 적절한 시장에서의 상용화를 진행함으로써 시장에서 안정적으로 자리잡아 로봇과 함께하는 세상을 가져와 주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