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자본주의 근육 키우는 중인 코알라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투자지표에 대해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투자지표는 주식의 가격의 수준을 가늠하는 "가치지표"와 회사가 만들어내는 이익의 수준을 가늠하는 "수익성 지표"로 나뉩니다. 가치지표가 낮을 수록 해당 회사의 주식의 가격이 낮다고 볼 수 있고, 수익성 지표가 높을 수록 해당 회사의 수익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치지표가 낮은 기업일 수록, 수익성 지표가 높은 기업일 수록 향후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대체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가치지표는 PBR, PER, POR, PCR, PSR, EV/EBITDA 등이 있고
수익성 지표는 ROA, ROE, GP/A, ROIC 등이 있습니다.
각 지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워낙 많은 곳에서 완벽하게 설명이 되어 있어 여기에 써놓진 않겠습니다. 하지만 각 지표에 대한 설명을 알아도 각 지표의 정확한 의미를 모르면 실전 투자에서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수 있을 것입니다. 예를 들어 PBR (주당 순이익)의 경우 시가총액/순자산으로 계산되는데 이 때 순자산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알려면 순자산 (자산-부채=자본) 항목이 재무제표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알아야 할 것입니다. 즉, 재무제표의 구조를 알고, 각 투자 지표가 어떤 것을 나타내는지 정확히 알아야 해당 투자 지표를 어느 정도 이해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아래와 같이 재무제표의 구조와 각 재무제표항목에 대응되는 투자지표를 표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EV/EBITDA나 ROIC는 재무제표에서 직접적으로 표시할 수 없어 표시하지 않았습니다.
그럼, 아래 표 보시고 공부 많이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투자 전략 태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전략] 마코위츠 포트폴리오 이론 최적화 실습 예정 (0) | 2021.11.08 |
---|---|
[코인] $10년$ 변동성 돌파 전략 확인 feat. 수수료의 위력 (0) | 2021.10.23 |
[코인] 주간 변동성 돌파 전략의 수익률 분포 (0) | 2021.09.16 |
[코인] 변동성 돌파 전략.. 주간과 월간의 성적은? (0) | 2021.09.11 |
[코인] 변동성 돌파 전략 - 투자 수익과 투자 승률과의 관계 (0) | 2021.09.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