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공부 2

[투자지표] 재무제표 상에서 투자지표의 위치는?

안녕하세요. 자본주의 근육 키우는 중인 코알라입니다. 오늘 글에서는 투자지표에 대해 말씀드려보고자 합니다. 투자지표는 주식의 가격의 수준을 가늠하는 "가치지표"와 회사가 만들어내는 이익의 수준을 가늠하는 "수익성 지표"로 나뉩니다. 가치지표가 낮을 수록 해당 회사의 주식의 가격이 낮다고 볼 수 있고, 수익성 지표가 높을 수록 해당 회사의 수익가치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치지표가 낮은 기업일 수록, 수익성 지표가 높은 기업일 수록 향후 주가가 상승할 여력이 있다고 대체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가치지표는 PBR, PER, POR, PCR, PSR, EV/EBITDA 등이 있고 수익성 지표는 ROA, ROE, GP/A, ROIC 등이 있습니다. 각 지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워낙 많은 곳에서 완..

[가치평가] 기업가치평가 공부하기 가장 좋은 방법?

저는 요즘 DCF니 상대가치법이니 해서 열심히 기업에 대한 가치평가 방법에 대해서 공부 중에 있습니다. 이제 막 배우기 시작한 단계라 딱히 말씀드릴 것은 없지만, DCF니 상대가치평가니 절대평가니 뭐니 배워야할게 많은데 막상 어렵게 배워도 현장에선 어떻게 응용될지 감이 안옵니다. 이 때 가장 현업에 가까운 가치평가 공부법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합니다. 일반적으로 유가증권의 시가총액을 시장이 판단하는 기업의 가치로 판단합니다. 그리고 어떤 회사가 주식시장 상장(공개) (IPO, initial public offering)을 할 때 기업의 가치에 맞게 적정한 공모가로 공개가 되어야 할 것입니다. 이 공모가를 정할 때 다수의 투자 주체들이 적절한 기업가치 평가 방식을 논리적으로 선정하여 가치 평가를 하게 됩니다..